검색결과 리스트
글
우리나라에 정간보井簡譜)가 있다면 중국에서는 간보簡譜)를 사용한다. 학교에서 오선보를 가르치긴 하지만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간보簡譜)를 사용하여 움악을 이해하고 연주한다. 간보簡譜)는 Numbered Musical Notation으로 Ziffersystem이라고도 하며 프랑스에서 사용하기 시작하여 19세기 말에 일본을 거쳐 중국으로 들어가 자리 잡았다.
표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계명인 도, 레, 미, 파, 솔, 라, 시를 1, 2, 3, 4, 5, 6, 7로 대응 시키고 기본음에 비해 1-옥타브가 낮으면 숫자 아래에, 높으면 위에 점을 찍고 #과 b은 숫자 앞에 첨자로 표기한다.
2. 4분음표 1박이 기준이어서 온음표는 첫음로 표시한 후 나머지는 대쉬(-)으로 나타내고 8분음표는 숫자 아래에 줄을 하나 긋고 16분음표는 2개, 32분음표는 3개의 선을 넣는다.
3. 쉼표는 숫자 0으로 표기하고 길이는 음표와 표기 형식이 동일하다.
4. 점음표와 점쉽표는 숫자 오른쪽에 점을 찍는다.
5. 악보표기는 다음과 같다.
1) 筒音作은 관악기 연주시 운지방법으로 5, 1, 2, 6, 그리고 3이 있으며 전폐음이 각각 솔, 도, 레, 라 그리고 미가 되며 위와 같이 5로 표기되면 지공을 모두 막으면 솔음이 난다.
2) 1=F는 조표를 나타낸다. F가 도가 되므로 바장조를 나타낸다.
중국에서는 길림 연변의 조선족이 부르는 아리랑을 간보로 이렇게 표기가 된다. 1=G 이므로 사장조 이다. 우리가 부르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비록 다른 나라에 살지만 같은 민족임이 틀림없다.
'고요한 밤, 거룩한 밤'으로 간보와 오선보를 비교해 보자
'New Story of Danso'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단소의 변신 (0) | 2016.05.03 |
---|---|
정간보에 대한 발칙한 상상 (0) | 2015.11.02 |
정간보(井簡譜) (0) | 2015.10.19 |
PVC 파이프가 악기로 변신 (0) | 2015.10.10 |
단소케이스 (0) | 2015.10.07 |
RECENT COMMENT